색상 공간이란?
HSV (Hue, Saturation, Value)
색상 공간은 색조(Hue), 채도(Saturation), 명도(Value)의 세 가지 매개변수로 표현됩니다. 색조는 0~360도의 각도로 색상의 종류를 나타내며, 채도는 색의 순수성을, 명도는 밝기를 나타냅니다. 디자인과 그래픽 작업에서 직관적으로 색상을 선택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됩니다.
HSL (Hue, Saturation, Lightness)
HSV와 유사하지만 명도(Lightness) 개념이 다릅니다. Lightness는 0%일 때 검정색, 100%일 때 흰색이 되며, 50%에서 순수한 색상이 나타납니다. 웹 디자인에서 CSS에서 널리 사용되며, 색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데 유용합니다.
LAB (Lightness, A, B)
3차원 좌표를 표현하는 색상 공간 유형으로, 밝기를 의미하는 차원 'L'과 보색 차원 'A'(녹색-빨강)와 'B'(파랑-노랑)로 구성됩니다. 인간의 시각을 근사하도록 설계되어 L 값은 사람이 볼 수 있는 모든 색상을 나타냅니다. 장치 독립적인 색상 모델로 간주되며, 한 색상 공간에서 다른 색상 공간으로 변환할 때 종종 참조로 사용됩니다.
RGB (Red, Green, Blue)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세 가지 기본 색상을 혼합하여 색상을 재현하는 가산 혼합 방식입니다. 각 색상은 0~255의 값을 가지며, 모니터, LCD 디스플레이,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 대부분의 디지털 장치에서 사용됩니다. 빛을 더할수록 밝아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CMYK (Cyan, Magenta, Yellow, Key)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노란색(Yellow), 검정색(Key plate)으로 표시되는 감산 혼합 방식입니다. 색을 혼합할수록 어두워지는 특성이 있으며,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CMYK 잉크를 사용하므로 인쇄물 제작에 주로 사용됩니다. 각 값은 0~100%로 표현됩니다.